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2024년 8월 한솔그룹 CIO 뉴스레터

인사이트 리포트2024.08.01

기사 내용 중 궁금하신점이나 관심이 있는 내용을 알려 주시면 좀 더 상세한 내용의 전달과 계열사의 적용 방안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 ※회신 담당자 : 최영식 담당, 이장교 그룹장(CTO), 장형종 팀장
  • ※수신자 추가는 장형종 팀장에게 요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ansol PNS
CIO NewsLetter

2024년 8월 한솔그룹 CIO 뉴스레터 입니다.

Hansol PNS
그룹 IT Master Plan 수립 완료
한솔그룹 계열사의 IT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한 그룹 IT Master Plan의 결과가 완성되어 각 회사에 안내되었습니다.
이번 IT Master Plan의 주요 결과물인 IT 로드맵은 전 계열사 차원의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영역별 주요 체크 포인트를 중심으로 IT Mega Trend, 외부 동향 분석, 경영진의 운영전략과 같은 Top-Down 분석과 계열사 현황 및 현 수준 분석, 실무자 설문과 같은 Bottom-Up 분석을 모두 수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화 전략 과제를 도출하여 계열사가 향후 3년간 과제를 추진할 수 있도록 수립되었습니다.
또한 이번에 수립한 로드맵이 단순히 1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프로세스로 체계적으로 수행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IT 거버넌스 체계를 점검하고 정비하였습니다.
향후 IT 로드맵은 이러한 거버넌스 체계 하에 지속적으로 계획하고 실행되어 성과를 확인해 나갈 것이며, IT가 각 사의 경영전략과 일치된 방향에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Driver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겠습니다.
IT Master Plan에서 도출된 전략과제 수행을 통해 한솔그룹의 Biz 경쟁력 강화, 운영효율성제고, Compliance 및 Risk 대응을 통한 안정성 강화 등의 기대효과 달성이 예상됨
IT 역할 변화 방향
Hansol PNS
생성형 AI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들
ChatGPT의 출현 이후로 생성형 AI 서비스들이 하루가 다르게 늘어가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서비스를 잘 활용하면,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던 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지요^^
그러면 왜 생성형 AI 라고 부를까요? 이런 궁금증이 있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 한 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함께 알아 보시죠~
생성형 AI란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AI가 대량의 데이터(예: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에서 패턴이나 구조, 스타일 등을 학습하고 이 내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나 콘텐츠를 ‘창조’ 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일상생활에서의 창작 활동에 비유해 보겠습니다.
한 화가가 자연 풍경을 그리기로 결정했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 화가는 먼저 실제 자연을 관찰하며 색상, 빛, 그림자 등 다양한 요소들을 학습한 뒤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스타일로 새로운 풍경화를 ‘창작’ 합니다. 여기서 화가는 실제로 본 자연 풍경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그림은 화가 자신의 이해와 해석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낸 것입니다.
생성형 AI도 비슷한 과정을 거칩니다. 단순히 기존 정보를 반복, 재현하는 것이 아닌 학습한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만드는 창조적 능력 때문에 ‘생성형’ 이라는 수식어가 붙었습니다.
생성형 AI가 등장하기 전과 후의 의미
생성형 AI가 나오기 전과 후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또 무엇이 어떻게 다르기에 전환점의 의미를 갖는 것일까요?
생성형 AI가 등장하기 전과 후를 구분하는 것은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응용 분야의 변화를 통해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생성형AI 등장 전,후
생성형 AI 주요 활용분야
생성형 AI는 디자인, 예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으며, 인간의 창작 활동을 보조하고, 새로운 형태의 창작물을 탄생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텍스트
  •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ion, NLG)의 한 분야로,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이 작성한 유사한 방식으로 맥락이나 주제에 맞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생성
  • (서비스 예시) OpenAI의 ChatGPT, 구글의 Gemini, 엔트로픽의 Claude, 네이버의 CLOVA X 등
이미지
  • 컴퓨터 비전,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텍스트, 스케치, 또는 다른 이미지를 기반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
  • (서비스 예시) Midjourney, DALL-E, Leonardo AI, Playground 등
음악
  • 악보, 리듬, 멜로디 등 음악적 요소를 학습하여 새로운 음악을 창작
  • (서비스 예시) AIVA, SOUNDFUL, Suno, Udio 등
오디오
  • 악보, 리듬, 멜로디 등 음악적 요소를 학습하여 새로운 음악을 창작
  • (서비스 예시) AIVA, SOUNDFUL, Suno, Udio 등
비디오
  • 이미지 생성, 음성 합성,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AI 기술이 복합적으로 활용되어 실제 영상과 유사한 가상의 영상을 생성
  • (서비스 예시) RUNWAYML, Kaiber, Pictory, InVideo, Vrew 등
Hansol PNS
한솔PNS, 데이터 기반 설비관리시스템 'SmartIN PAM' 으로 제조 산업 공략
SmartIn PAM
생산설비의 비효율적인 관리는 예상치 못한 고장, 다운타임을 초래하여 생산성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은 제조 기업들이 설비관리시스템 도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장의 상황과 니즈를 반영하여 한솔PNS는 20여년간 제조업 설비 보전 업무에 활용된 경험을 바탕으로 설비관리시스템 'SmartIN PAM'을 새롭게 런칭했습니다.
SmartIN PAM은 설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물리적 인프라를 최적화하고 생산 설비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도록 설계한 것은 물론, 유연한 맞춤 설정과 원활한 시스템 통합 및 확장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주요기능
  • 7개의 핵심 모듈(설비 마스터, 작업 관리, 보수계획 관리, 예방 보전 등)로 구성
  • 대시보드 설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실시간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
  • 무선 IoT 센서 연동, 설비관제 기능을 통해 전체 설비 실시간 통합 관리
  • AI 기반의 예지보전과 이상 탐지 및 유지보수 기능으로 장비의 다운타임 최소화
  • GenAI 기반 챗봇 도입으로 시스템 활용도를 향상시켜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설비 관리 효율성 극대화
  • PC, 모바일 등 멀티 디바이스 환경 지원
최근 제조현장에 복잡한 설비가 도입되면서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설비관리시스템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데요, 최신 기술이 탑재되고 사용자 편의성도 개선된 SmartIN PAM으로 설비 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Hansol pns
문의하기